현재 내 프로젝트에서 tsconfig.json은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데, nextjs를 15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target에 대한 안내 메시지가 나온김에 한번 정리하게 되었다. 천천히 생각나는 대로 정리할 예정이다.  

{
  "compilerOptions": {
    "lib": [
      "dom",
      "dom.iterable",
      "esnext"
    ],
    "allowJs": true,
    "skipLibCheck": true,
    "strict": true,
    "noEmit": true,
    "esModuleInterop": true,
    "module": "esnext",
    "moduleResolution": "bundler",
    "resolveJsonModule": true,
    "isolatedModules": true,
    "jsx": "preserve",
    "incremental": true,
    "baseUrl": "./src",
    "types": [
      "@emotion/react/types/css-prop"
    ],
    "plugins": [
      {
        "name": "next"
      }
    ],
    "paths": {
      "shared": ["./shared"],
    },
    "target": "ES2017"
  },
  "include": [
    "next-env.d.ts",
    "**/*.ts",
    "**/*.tsx",
    ".next/types/**/*.ts",
    "src/shared/Modal/Modal.tsx"
  ],
  "exclude": [
    "node_modules",
    ".next"
  ]
}

 

 

 

 

compilerOption

include

exclude

 

target: typescript가 어떤 버전의 자바스크립트로 변환되는지 설정하는 값

 

 

1부 세상을 살아가는 오른쪽날개, 자본주의 > 3장 새로운 눈으로 미래를 내다보자 > [러시아 전쟁에 숨어있는 비밀]

 

요즘말이다. 유튜브에서 보는 콘텐츠가 좀 달라졌다. 예전이라고 하면 한 3달 전인가? 원래 나는 우왁굳이나 이세돌, 아이돌, 침착맨 등등 킬링타임용 콘텐츠를 무지막지하게 즐겼다. 딥하지는 않아도 내 어린정신연령과 맞는 콘텐츠 였다.

근데 언제쯤 만난 삼지라는 친구가 자본주의에 관련된 EBS 다큐를 추천해줬다. 내 주변에서 나도 모르게 이렇게 복잡한 일들이 흘러가고 있다니..! 이것이 사회란 것인가? 그치 이렇게 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문제와 차이가 존재하는게 마우스 딸깍하듯이 세상이 돌아갈리 없다. 알아야 하는 내용을 이제서야 알게됐구나 라는 아쉬움보다, 이제라도 알게 되었다니 너무 재밌고 흥미진진했다. 

그렇게 나는 요즘 세계 정세를 파악하고, 세계사에 대해서도, 지리에 대한 콘텐츠를 보고 있다. 뭐 공부를 해야겠다는 의미는 아니고 관심 분야가 바뀐것 뿐이다.

 

인트로가 길었다. 오늘 읽은 부분의 [러시아 전쟁에 숨어있는 비밀] 부분은 읽으면서 나에게 흥미진진한 기분을 선사해주었기 때문이다.

 

그래, 러우전을 보면 당연하게 응원은 우크라이나를 해야하는 것이다. 왜냐면 러시아는 나쁘니까(?) 언론의 러시아는 천하의 나쁜놈이다. 기사는 우리에게 진실을 전달하려고 하지 않는다. 우리가 읽고 싶어하는 글을 쓰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 우크라이나는 본래 소비에트 연방국의 일원이었고, 90년도에 독일이 통일되고 소련은 불안감을 느낀다. 동독이 방패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었는데 이제 줄줄이 나토에 가입하게 되는 거다. 나토는 오직 러시아를 경계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기 때문에, 

그때 고르파초프는 서독이 나토가 서독 밖으로 1인치도 이동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고 독일의 통일에 동의하게 되는데, 이게 지켜질리 없었고, 이제 우크라이나까지 가입을 하게 된것이다. 이렇게 러시아와 나토간의 견제는 계속 되었는데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으로 불이 크게 붙었고, 전쟁이 시작된 것이다. 2013년 부터 이런 서로에 대한 견제가 있었고 우크라이나는 그때부터 서방권의 지원을 받아 군사력을 키워 러시아와 전쟁을 하게 된 것이다. 러시아는 지금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이 아닌 서방권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이 전쟁에서 우크라이나가 지게 된다면, 최강국이라는 미국의 위상과 기축통화 자리도 위태롭게 될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국민들은 이미 무한으로 찍어내는 달러에 익숙해진 나태최강의 국민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이 전쟁은 전세계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전쟁인 것이다. 

주변국이 어떤 행동을 취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판도가 어떻게 바뀔지 보이지 않을까?

1부. 세상을 살아가는 오른쪽 날개, 자본주의

2장. 자본주의 세상의 법칙을 배우자

<<비트코인의 등장>>

<<코로나와 우리 삶의 변화>>

미국은 코로나로 인한 세계적인 봉쇄로 멈춰버린 자본주의를 다시 활성화 시키기 위해 달러를 더 찍어내기 시작한다. 단 1~2년동안 지금까지 발행한 달러보다 더 큰 액수를 찍어낸 것이다. 이는 당연히 부동산, 주식 등 몇배로 오르게했다.

중국과의 경제전쟁을 염두해둔 대중국 정책의 일환이라고 본다. 

 

중국은 개인이 달러를 소유할 수 없어서 급격하게 풀린 달러는 위완으로 환전되어 중국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그렇게 중국의 가장 큰 뇌관인 부동산까지 변동되게 되었다.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던 이런식의 미국 정책은 현재까지는 달러의 위상을 지키는데 역할을 했다. 

하지만 미국의 폭력적인 금융정책은 여러나라에서 탈달러를 유도했다. 옛 영국의 파운드화가 저물었듯 달러도 그런날이 있을것이다. 

미국은 달러의 가치가 위태로워질 때마다, 통화량을 늘려 인플레이션을 전 세계에 수출할 것이다. 

 

이것이 미국이 지금까지 유지해온 세계화의 본모습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