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3개월 동안 책 한권

[2%] 당신은 설명서도 읽지 않고 인생을 살고 있다 - 꼬몽디

꼬ㅈi모 2024. 8. 8. 00:56
해치우듯 책을 읽지 않기 위해 혹은 독서가 부담이 되지 않기 위해 3개월에 한권읽기 프로젝트 중입니당 💬

 

자본주의 게임의 법칙이 부주제 인 것 같다.

나는 투자, 경제에 대해서 관심이 없어 무지하다.

나는 돈에 욕심이 없다. 돈은 있다가도 없고 없다가도 있으며 욕심이라는 것은 내가 원하던 것을 가진다고 해소되는 것이 아닌 무한한 것이기 때문에, 항상 현재에 만족하며 살았다. 돈을 더 키워야 겠다는 마음이 없었던 것이 경제, 자본주의에 대한 무지의 시작이었다.

 

지금은 그렇다고 돈을 더 키워야지 하는 마음으로 책을 읽는 건 아니고,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는 나의 행동이, 적어도 뭘 거스르고 있는지는 알아야 할것 같아 이 책을 읽는다.

 

1부 세상을 살아가는 오른쪽 날개, 자본주의 - 1장 세상을 보는 눈을 바꿔보자.  30page

 

나에게는 자존감이든 뭐든 부족한 무언가가 있고 그에 방어기제로 사람을 나쁘게 보기도 한다.

"저 사람은 날 안좋게 볼거야"

성급한 판단과 겪어보지도 않고 판단해버리는 방어기제가 있다. 기대가 높으면 실망이 큰 법이니, 아예 기대가 없는 인간관계를 추구하고 있는 것일지도 (글을 작성하면서도 이건 고쳐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나는 어제보다 나아지려고 방어기제를 세우며 아등바등 살고 있다.

 

나는 이제 선택해야한다. 

분노한채로 하늘에 돌을 던지면서 주저앉을지

아니면 게임의 법칙을 배우고 본인을 위해 이 불합리한 게임을 끝까지 즐길지

 

지금 내가 이 책을 읽기 위해 처음 가졌던 마음가짐. 자본주의에 대해서 배우자 라는건 잠시 접어둬야한다.

우리에게 필요한건 주식같은 정보를 얻는게 아니고, 나를 바꾸는 일이다. 

정보를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는 올바른 가치관을 세우고, 

널려있는 지식들 중, 진짜를 가려내는 능력을 키우고, 

움직이지 않는 엉덩이를 움직이게 할 동기를 찾아야 한다.

 

지금 내가 만족할만한 성과가 없다면, 
네가 살면서 했던 총체적 선택의 결과값이라고 겸허히 수용하고, 해결책을 찾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선 머리가 말랑말랑 해야한다.
이것도 내 생각이랑 다르고, 저것도 내 생각이랑 다르다.
너의 상식과 잘못된 가치관이 지금의 본인을 만들었기에 제일 먼저 해야할 일은 나의 상식과 가치관을 부수는 일이다. 

난 이 문구가 너무 좋다. 지금 나에게 필요한 이야기다. 

 

행복이라는건 도파민이 주로 담당하는데, 계획을 세우고, 달성할 때 분비가 된다.

탐욕이 끝이 없는 이유는 도파민의 역치가 상승하면, 더 큰것을 바라게 되기 때문이다. 

올라갈곳이 없는 인생도 불쌍한 인생이다. 

 

도파민의 원리로 봤을때 행복의 가장 큰 요소는 잘될거라는 불확실한 희망. 그 희망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 자체라고 할수 있다. 

 

이제 행복해지는 방법은 단순하다. 
내 눈앞에 있는 일. 내 손으로 해결할수 있는 것들을 성취하고 달성해 나가는 것이다.
이렇게 나의 뇌를 도파민의 중독으로 빠뜨리는 것이다. 성취의 행복에 중독되게 해야하는 것이다.

 

아무래도 나는 이점이 부족햇던거같다.

항상 큰 서비스를 마스터플랜을 바라보고 일을 했다. 목적과 목표대로 진행하는 것인가? 항상 의심해야했고, 지름길로 가기 위해선 멀리 봐야 했다. 이 점은 성취의 감동을 얻기에 힘든 환경이 었다.

 

오늘을 계기로 나는 조금 더 단위를 작게 보고, 눈 앞의 일을 해치우는 것을 해봐야겠다.
작은 도파민 부터, 점점 크게 중독을 시켜보는 것이다.

 

사람은 환경이 어마어마하게 중요하기 때문에, 환경이 좋지 않다면, 그것부터 고쳐보자.

더러운 방을 깨끗하게 치우고, 네 몸을 피곤하게 만드는 지방 덩어리를 줄이던가 음주습관을 고쳐보는 것이다.